Published:
Updated:

도메인 주소는 이미 구입했다는 가정 하에 진행한다.

서론Permalink

보통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 프론트엔드와 백엔드의 서버를 각각 놔둘 것이다. 나는 Vite React와 Spring Boot를 사용했기 때문에 2개의 서버가 필요했다.
배포 환경에서 생각해 보면, 하나의 도메인으로 프론트엔드와 백엔드 모두 작동해야 하니 어떻게 해야 할지 단숨에 떠오르지는 않는다. 이럴 때는 경로를 각각 다르게 생각하면 된다. (기본: 프론트엔드, /api/*: 백엔드)

대상 그룹 생성Permalink

Screenshot 2025-02-02 at 21 09 43

  • target-be: 백엔드 연결을 담당하는 8080 포트 전용
  • target-fe: 프론트엔드 연결을 담당하는 80 포트 전용

로드밸런서 생성Permalink

Screenshot 2025-02-02 at 21 09 57

Screenshot 2025-02-02 at 21 10 09

  • 80 포트로 접근이 된다면, HTTPS의 443 포트로 리다이렉트 되게끔 적용
  • /api/* 패턴으로 접근했을 때, 아까 설정한 target-be 즉 8080 포트로 전달
    • 나머지 패턴은 기본 443 포트로 적용됨

최종 작업Permalink

  1. AWS Certificate Manager로 DNS 레코드 생성 후 인증서 발급 (CNAME 유형 자동 생성됨)

Screenshot 2025-02-02 at 21 22 46

  1. Route 53으로 A 유형과 NS 유형 추가

Screenshot 2025-02-02 at 21 23 33

Tags: , ,

Categories:

Published:
Updated:

Leave a comment